맨위로가기

태풍 마이삭 (2020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태풍 마이삭 (2020년)은 2020년 8월 28일 필리핀 마닐라 동북동쪽 해상에서 발생하여 일본 오키나와 부근을 지나 한국에 상륙한 태풍이다. 최대풍속 49m/s의 '매우 강' 세력으로 최성기를 맞이한 후 한반도에 상륙하여 2명의 사망자와 12만 건 이상의 정전, 5,100ha 이상의 농경지 피해를 입혔다. 일본,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국, 러시아 등지에 영향을 미쳐 최소 32명의 사망자와 1억 달러 이상의 경제적 손실을 발생시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0년 태풍 - 태풍 하이선 (2020년)
    2020년 태풍 하이선은 8월 말 괌 북동쪽 해상에서 발생하여 한반도와 일본에 큰 영향을 미치고 9월 7일 울산에 상륙, 막대한 피해를 야기한 강력한 태풍이다.
  • 2020년 태풍 - 태풍 바비 (2020년)
    2020년 8월에 발생한 태풍 바비는 동아시아 지역에 영향을 주며 강한 세력으로 발달하여 한반도를 스쳐 지나가 한국, 북한, 일본, 중국 등에서 강풍과 폭우 피해를 일으켰고, 특히 북한에서는 관영 매체가 밤샘 방송을 진행하며 피해 상황을 보도했다.
  • 2020년 8월 - 와카시오호 기름 유출 사고
    와카시오호 기름 유출 사고는 2020년 모리셔스 남동부 해상에서 벌크선 와카시오호가 좌초되어 약 1,000톤의 중유가 유출된 사고로, 해양 생태계와 관광 산업에 막대한 피해를 입혔다.
  • 2020년 8월 - 2020년 말리 쿠데타
    2020년 말리 쿠데타는 이브라힘 부바카르 케이타 대통령에 대한 불만, 선거 부정 의혹, 반정부 시위 등을 배경으로 군인들이 대통령과 총리를 체포하고 케이타 대통령이 사임하면서 발생했으며, 국민구제위원회가 권력을 장악하고 과도 정부를 구성한 사건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태풍 - 태풍 볼라벤 (2012년)
    2012년 태풍 볼라벤은 마리아나 제도에서 발생하여 오키나와를 거쳐 한반도를 관통하면서 대한민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 막대한 피해를 입힌 강력한 열대 저기압으로, 라오스의 볼라웬 고원을 의미하는 이름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태풍 - 태풍 에위니아 (2006년)
    태풍 에위니아 (2006년)는 2006년 7월에 발생하여 대한민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 피해를 주고 전라남도 진도군 해안에 상륙하여 강원도 홍천군 부근에서 소멸했으며, 대한민국에서 40명이 사망하고 1조 8344억 원의 재산 피해를 발생시킨 태풍이다.
태풍 마이삭 (2020년)
기본 정보
2020년 9월 1일 류큐 열도 부근에서 최대 강도로 발달한 마이삭
2020년 9월 1일 류큐 열도 부근에서 최대 강도로 발달한 마이삭
명칭태풍 마이삭 (줄리안)
활동 기간2020년 8월 27일 ~ 2020년 9월 7일
태풍 번호202009
JMA 명칭마이삭 (Maysak)
KMA 명칭마이삭
JTWC 명칭09W
한국 기상청(KMA) 분류강한 태풍
일본 기상청(JMA) 등급강한 태풍
세력
일본 기상청(JMA)10분 최대 풍속: 95 노트 (175 km/h; 110 mph)
최저 기압: 935 hPa
합동태풍경보센터(JTWC)1분 최대 풍속: 120 노트 (220 km/h; 140 mph)
최저 기압: 930 hPa
한국 기상청(KMA)10분 최대 풍속: 49 m/s
최대 크기 (직경)1200 km
최대 강풍 반경 (KMA)400 km
영향
영향 지역필리핀
일본
한반도
중국 북동부
러시아 극동
피해사망: 46명 (전체)
재산 피해: 1억 달러
소멸일2020년 9월 3일 (온대 저기압으로 변질)
관련 시즌2020년 태평양 태풍 시즌
기타 정보
디지털 태풍 정보Digital Typhoon: Typhoon 202009 (MAYSAK)

2. 발생 및 경로

태풍 마이삭의 경로


태풍 마이삭은 2020년 8월 28일 15시경 필리핀 마닐라 동북동쪽 약 104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96 hPa, 최대풍속 18 m/s의 열대폭풍으로 발생하였다. 발생 초기에는 다소 더디게 발달했으나, 북북서진하며 일본 오키나와 부근 해상으로 접근하면서 급격히 세력을 키웠다.

9월 1일 9시경 동중국해일본 오키나와 서쪽 약 20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35 hPa[51], 최대풍속 49 m/s의 '매우 강'한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 북북동진으로 경로를 바꾸면서 점차 약화되기 시작하였으나, 제주도 동쪽 해상을 지나면서 잠시 재발달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이후 대한민국 기상청 기준으로 9월 3일 2시 20분경 부산광역시 남서쪽 해안에 상륙하였으며,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는 비슷한 시각에 중심기압 950hPa, 10분 평균 풍속 44m/s의 세력으로 경상남도 김해시 부근에 상륙하였다. 한반도 상륙 후에는 빠른 속도로 북북동진하며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기 시작했고, 9월 3일 오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북도 연사군 부근 육상에서 완전히 온대저기압으로 약화되었다.

2. 1. 발생 초기

2020년 8월 바비한반도에 영향을 미친 후, 대한민국 기상청(KMA)은 바비보다 더 강력하고 해당 지역에 더 큰 피해를 줄 수 있는 새로운 열대 저기압의 열대 저기압 발생 가능성을 예의주시했다.[1] 기상청은 태풍 발생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하면서도, 향후 영향에 대해서는 불확실성을 언급했다.[2] 합동태풍경보센터(JTWC) 역시 "심각한 열대 저기압" 발생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다.[3]

마이삭의 전조가 된 교란은 필리핀 동쪽 서태평양 해상의 저기압이었다.[4] 8월 27일 06:00 UTC, 일본 기상청(JMA)은 북위 15°, 동경 132° 부근에서 거의 정체 상태인 열대 저기압이 형성되었다고 분석했다.[5] 같은 시각, JTWC는 이 시스템에 대해 열대 저기압 형성 경보를 발령했다.[6] 이 열대 저기압은 따뜻한 해수면 온도와 낮은 연직 풍속 시어 등 발달에 유리한 환경에 놓여 있었다.[7] 초기부터 중심 주변으로 대기 대류가 활발했으며, 형성 중인 순환을 감싸는 강우대가 관측되었다.[8][9]

8월 28일 새벽, 필리핀 대기 지구 물리 천문청(PAGASA)은 이 시스템을 열대 저기압으로 분류하고 현지명 '줄리안'(Juliantl)을 부여했다.[10] 같은 날 06:00 UTC(한국 표준시 15시), JMA는 이 열대 저기압이 열대 폭풍으로 발달했다고 판단하고 '마이삭'(ម៉ៃសាក់km)으로 명명했다.[11] JMA의 태풍 정보 속보치 기준으로는 이때 필리핀 마닐라 동북동쪽 약 104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96 hPa, 최대풍속 18 m/s, 강풍 반경 280km(남서쪽 반경)의 세력으로 공식 발생한 것으로 기록되었다. 이때 이미 상층 유출이 원활해졌고, 위성 영상에서도 뚜렷하게 발달하는 강우대의 곡률이 확인되었다.[11] 폭풍의 구름정 온도는 더욱 낮아져 조직화가 강화되고 있음을 시사했다.[12] 마이삭은 이후 12시간 만에 강한 열대 폭풍으로 더욱 발달했다.[13]

8월 29일 12:00 UTC, 마이삭은 태풍의 눈 구조를 갖추면서 JMA 기준 태풍 등급으로 격상되었다. 이 시기부터 인근 아열대 고기압 가장자리를 따라 북쪽으로 이동 경로를 잡기 시작했다.[14][15][16]

2. 2. 발달 및 최성기



2020년 8월 바비한반도에 영향을 미친 후, 대한민국 기상청(KMA)은 바비보다 더 강력한 새로운 열대 저기압 발생 가능성을 예의주시했다.[1][2] 합동태풍경보센터(JTWC) 역시 "심각한 열대 저기압" 발생 가능성이 높다고 보았다.[3]

마이삭의 전조가 된 교란은 필리핀 동쪽 서태평양의 저기압이었다.[4] 일본 기상청(JMA)은 8월 27일 06:00 UTC에 북위 15°, 동경 132° 부근 해상에서 열대 저기압이 형성되었다고 분석했다.[5] 같은 시기 JTWC는 이 시스템에 대해 열대 저기압 형성 경보를 발령했다.[6] 이 열대 저기압은 따뜻한 해수면 온도와 낮은 수직 풍속 시어 등 발달에 유리한 환경에 있었다.[7] 초기에는 폭풍 중심 주변으로 대기 대류가 활발해지며 강우대가 형성되기 시작했다.[8][9]

8월 28일 새벽, PAGASA는 이 시스템을 열대 저기압으로 분류하고 현지 이름 '줄리안'을 부여했다.[10] 같은 날 06:00 UTC (한국 시간 15시), JMA는 이 열대 저기압이 필리핀 마닐라 동북동쪽 약 104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96 hPa, 최대풍속 18m/s, 강풍 반경 280km(남서쪽)의 열대 폭풍으로 발달했다고 발표하며 '마이삭'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이 시점부터 점차 상층 발산이 원활해지고 위성 영상에서 강우대의 곡률이 뚜렷해졌으며, 구름 상단 온도가 낮아지는 등 조직화되는 모습을 보였다.[11][12] 마이삭은 12시간 뒤 강한 열대 폭풍으로 더욱 발달했다.[13]

이후 마이삭은 북북서진하며 일본 오키나와 부근 해상으로 접근하면서 급격하게 발달하기 시작했다. 8월 29일 12:00 UTC, JMA는 마이삭이 뚜렷한 눈을 형성하며 태풍으로 발달했다고 분석했다. 이때부터 인근 아열대 고기압 가장자리를 따라 북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했다.[14][15][16] 8월 30일, JTWC는 마이삭의 구조가 급격한 강화 단계에 임박했음을 시사했다.[17] 실제로 태풍은 눈을 감싸는 매우 두껍고 강한 구름층인 중앙 밀집 오버캐스트(CDO)를 발달시켰다.[18] 중국 동부와 일본 서부로 접근하는 저기압의 영향으로 북쪽으로 이동 속도가 빨라졌다.[19]

마이삭은 9월 1일 9시, 일본 오키나와 서쪽 약 200km 부근 해상(동중국해)에서 중심기압 935 hPa[51], 최대풍속 49m/s (10분 평균)의 '매우 강'한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했다. JMA는 9월 1일 00:00 UTC 기준으로 최대 순간풍속이 250km/h에 달했을 것으로 추정했다.[22][23] JTWC는 이보다 조금 앞선 8월 31일 21:00 UTC에 1분 평균 최대풍속을 215km/h로 분석했다.[21] 최성기 당시 태풍의 눈은 매우 뚜렷했다. 초기 직경은 55km에 달했으나[20], 점차 발달하며 8월 31일 21:00 UTC에는 직경 19km의 작고 강한 눈으로 응축되었다.[21] 마이삭은 이 강력한 세력을 유지한 채 동중국해를 통과하기 시작했다.[24]

2. 3. 한반도 상륙 및 소멸

(1904년~)'''순위태풍 번호태풍 이름최저 해면 기압관측 연월일관측 장소1위5914사라951.5 hPa1959/9/17부산2위0314매미954.0 hPa2003/9/12통영3위2009마이삭957.0 hPa2020/9/03거제4위2010하이선957.6 hPa2020/9/07부산5위3693(태풍 3693호)959.4 hPa1936/8/27제주6위0014사오마이959.6 hPa2000/9/16통영7위2211힌남노959.7 hPa2022/9/6부산8위8705셀마961.5 hPa1987/7/15서귀포9위8712다이너961.7 hPa1987/8/31부산10위1215볼라벤961.9 hPa2012/8/28흑산도



'''대한민국 태풍 내습시 관측된 최대 풍속
(1904년~)'''
순위태풍 번호태풍 이름최대 풍속관측 연월일관측 장소
1위0314매미51.1 m/s2003/9/12고산
2위1618차바49.0 m/s2016/10/5고산
3위0012프라피룬47.4 m/s2000/8/31흑산도
4위2009마이삭45.0 m/s2020/9/3고산
4위541245.0 m/s1954/9/14울릉도
6위0215루사43.7 m/s2002/8/31고산
7위0711나리43.0 m/s2007/9/16고산
8위1904년 태풍-42.4 m/s1904/8/18목포
9위1905년 태풍-42.3 m/s1905/9/2목포
10위1913링링42.2 m/s2019/9/7흑산도


3. 특징

태풍 마이삭은 2020년 8월 말 필리핀 동쪽 해상에서 발생하여, 북상하며 일본 오키나와 부근 해상을 지날 때 급격히 발달하였다. 9월 1일 동중국해에서 중심기압 935 hPa[51], 10분 평균 최대풍속 49 m/s의 '매우 강' 세력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으며[22][23], 이는 2020년에 발생한 태풍 중 가장 강력한 수준이었다.

이후 북동진하며 다소 약화되었으나 여전히 강한 세력을 유지한 채 한반도로 접근했다. 특히 제주도 동쪽 해상을 통과하며, 이전에 지나간 제8호 태풍 바비(BAVI)가 소모하지 않은 해수 열용량을 흡수하며 일시적으로 재발달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9월 3일 새벽, 강한 세력으로 부산광역시 남서쪽 해안에 상륙하였고[25], 빠른 속도로 한반도를 관통한 뒤 9월 3일 오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북동부 지역에서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26]

마이삭은 대한민국에 상륙한 태풍 중 역대급 강도를 기록하며, 최저해면기압, 최대풍속 등 여러 기상 관측 부문에서 중요한 기록을 남겼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문단 참조)

이 태풍은 바로 직전에 한반도에 영향을 준 바비보다 더 강력할 것으로 예측되어 발생 초기부터 대한민국 기상청 등에서 큰 피해를 우려하기도 했다.[1][2]

3. 1. 강도 및 세력



태풍 마이삭은 발생 이후 북북서진하며 일본 오키나와 부근 해상에 접근하면서 급격히 발달하였다. 9월 1일 9시에는 일본 오키나와 서쪽 약 200km 부근 해상(동중국해)에서 중심기압 935 hPa[51], 10분 평균 최대풍속 49 m/s의 '매우 강' 세력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22][23]

최성기 이후 북북동진으로 방향을 틀면서 다소 약화되었으나, 제주도 동쪽 해상을 지나면서 재발달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이후 대한민국 기상청(KMA) 기준으로 9월 3일 2시 20분 부산광역시 남서쪽 해안에 상륙하였다. 일본 기상청(JMA) 기준으로는 비슷한 시각인 9월 3일 2시에서 3시 사이에 중심기압 950 hPa, 10분 평균 최대풍속 44 m/s의 세력으로 경상남도 김해시 부근에 상륙한 것으로 분석되었다.[25]

태풍 마이삭은 한반도에 영향을 미친 태풍 중 역대급 강도를 기록했다. 대한민국 지상 관측 기록 기준으로 최저해면기압은 1959년 사라, 2003년 매미에 이어 역대 3번째로 낮은 957.0 hPa(거제시)를 기록했다. 또한, 최대풍속은 45.0 m/s(고산)로 역대 공동 4위, 최대순간풍속은 49.2 m/s(고산)로 역대 9위를 기록하였다.

'''대한민국 지상에서 관측된 최저해면기압이 낮았던 태풍
(1904년~)'''
순위태풍 번호태풍 이름최저 해면 기압관측 연월일관측 장소
1위5914사라951.5 hPa1959/9/17부산
2위0314매미954.0 hPa2003/9/12통영
3위2009마이삭957.0 hPa2020/9/03거제
4위2010하이선957.6 hPa2020/9/07부산
5위3693(태풍 3693호)959.4 hPa1936/8/27제주
6위0014사오마이959.6 hPa2000/9/16통영
7위2211힌남노959.7 hPa2022/9/6부산
8위8705셀마961.5 hPa1987/7/15서귀포
9위8712다이너961.7 hPa1987/8/31부산
10위1215볼라벤961.9 hPa2012/8/28흑산도



'''태풍 내습시 관측된 최대 순간 풍속
(1938년~)'''
순위태풍 번호태풍 이름최대 순간 풍속관측 연월일관측 장소
1위0314매미60.0 m/s2003/9/12제주
2위0012프라피룬58.3 m/s2000/8/31흑산도
3위0215루사56.7 m/s2002/8/31고산
4위1618차바56.5 m/s2016/10/5고산
5위1913링링54.4 m/s2019/9/7흑산도
6위0711나리52.4 m/s2007/9/17울릉도
7위1215볼라벤51.8 m/s2012/8/28완도
8위9219테드51.0 m/s1992/9/25울릉도
9위2009마이삭49.2 m/s2020/9/3고산
10위8613베라49.0 m/s1986/8/28울진



{| class="wikitable" border="1" cellpadding="10" cellspacing="2" style="margin-bottom: 1.5em; width:500px;"

|+'''대한민국 태풍 내습시 관측된 최대 풍속
(1904년~)'''

|-

!순위

!태풍 번호

!태풍 이름

!style="width:90px"|최대 풍속

!관측 연월일

!관측 장소

|-

|align="right"|1위

|align="center"|0314

|align="center"|매미

|align="center"|51.1 m/s

|align="center"|2003/9/12

|align="center"|고산

|-

|align="right"|2위

|align="center"|1618

|align="center"|차바

|align="center"|49.0 m/s

|align="center"|2016/10/5

|align="center"|고산

|-

|align="right"|3위

|align="center"|0012

|align="center"|프라피룬

|align="center"|47.4 m/s

|align="center"|2000/8/31

|align="center"|흑산도

|-

|align="right"|4위

|align="center"|2009

|align="center"|마이삭

|align="center"|45.0 m/s

|align="center"|2020/9/3

|align="center"|고산

|-

|align="right"|4위

|align="center"|5412

|align="center"|쥰

|align="center"|45.0 m/s

|align="center"|1954/9/14

|align="center"|울릉도

|-

|align="right"|6위

|align="center"|0215

|align="center"|루사

|align="center"|43.7 m/s

|align="center"|2002/8/31

|align="center"|고산

|-

|align="right"|7위

|align="center"|0711

|align="center"|나리

|align="center"|43.0 m/s

|align="center"|2007/9/16

|align="center"|고산

|-

|align="right"|8위

|align="center"|1904년 태풍

|align="center"|-

|align="center"|42.4 m/s

|align="center"|1904/8/18

|align="center"|목포

|-

|align="right"|9위

|align="center"|1905년 태풍

|align="center"|-

|align="center"|42.3 m/s

|align="center"|1905/9/2

|align="center"|목포

|-

|align="right"|10위

|align="center"|1913

|

3. 2. 이동 경로 및 속도



태풍 마이삭은 2020년 8월 27일 필리핀 동쪽 서태평양저기압에서 발달하기 시작했다.[4] 일본 기상청(JMA)은 이날 06:00 UTC에 북위 15°, 동경 132° 부근 해상에서 열대 저기압 형성을 확인했다.[5] 필리핀 대기 지구 물리 천문청(PAGASA)은 8월 28일 이 시스템을 '줄리안'이라는 현지 이름의 열대 저기압으로 분류했다.[10]

8월 28일 15시경, JMA는 이 열대 저기압이 필리핀 마닐라 동북동쪽 약 104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96 hPa, 최대풍속 18 m/s, 강풍 반경 280km(남서쪽 반경)의 열대 폭풍으로 발달하여 '마이삭'이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발표했다.[11] 발생 초기에는 발달이 더뎠으나, 점차 북북서진하며 일본 오키나와 부근 해상으로 접근하면서 따뜻한 해수면 온도와 낮은 수직 윈드 시어 등 유리한 환경 속에서 급격히 발달했다.[7][8][9] 8월 28일 밤에는 강한 열대 폭풍으로 격상되었고[13], 8월 29일에는 눈 구조를 형성하며 태풍으로 발달했다.[14][15] 이후 아열대 고기압 가장자리를 따라 북쪽으로 이동 방향을 틀었다.[16]

8월 30일부터 마이삭은 급격한 강화 단계에 접어들 것으로 예상되었으며[17], 실제로 뚜렷한 눈과 함께 중앙 밀집 오버캐스트 구조를 발달시켰다.[18] 중국 동부와 일본 서부로 접근하는 저기압의 영향으로 북쪽으로 이동 속도를 높이며[19], 9월 1일 9시경 일본 오키나와 서쪽 약 200km 부근 해상(동중국해)에서 중심기압 935 hPa[51], 10분 평균 최대풍속 49 m/s의 '매우 강' 세력으로 최성기를 맞이했다.[22][23]

최성기 이후 마이삭은 동중국해를 지나면서 점차 북북동쪽으로 전향하기 시작했고(9월 1일 14~15시경), 세력은 다소 약화되었다.[24] 그러나 제주도 동쪽 해상을 지나면서, 이전에 제8호 태풍 바비(BAVI)가 지나가지 않아 해수 열용량이 높은 해역을 통과하며 일시적으로 재발달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이후 빠른 속도로 북상하여 한반도에 접근했다. 대한민국 기상청(KMA) 기준으로는 9월 3일 2시 20분에 부산광역시 남서쪽 해안에 상륙했다.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는 9월 3일 2시에서 3시 사이에 중심기압 950 hPa, 10분 평균 최대풍속 44 m/s의 세력으로 경상남도 김해시 부근에 상륙한 것으로 분석했다.[25]

한반도에 상륙한 뒤에는 빠른 속도로 북북동진하며 내륙을 관통했고, 온대저기압으로 빠르게 변질되기 시작했다. 대한민국 기상청9월 3일 12시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남도 함흥시 동쪽 약 130km 부근 동해상에서 중심기압 970 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고 발표했다. 일본 기상청은 같은 날 15시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북도 연사군 부근 육상(함흥 북동쪽 약 252km 지점)에서 중심기압 974 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고 분석했다.[26]

3. 3. 대한민국 기상 관측 기록

'''대한민국 지상에서 관측된 최저해면기압이 낮았던 태풍 (1904년~)'''
순위태풍 번호태풍 이름최저 해면 기압관측 연월일관측 장소
1위5914사라951.5 hPa1959/9/17부산
2위0314매미954.0 hPa2003/9/12통영
3위2009마이삭957.0 hPa2020/9/03거제
4위2010하이선957.6 hPa2020/9/07부산
5위3693(태풍 3693호)959.4 hPa1936/8/27제주
6위0014사오마이959.6 hPa2000/9/16통영
7위2211힌남노959.7 hPa2022/9/6부산
8위8705셀마961.5 hPa1987/7/15서귀포
9위8712다이너961.7 hPa1987/8/31부산
10위1215볼라벤961.9 hPa2012/8/28흑산도



'''태풍 내습시 관측된 최대 순간 풍속 (1938년~)'''
순위태풍 번호태풍 이름최대 순간 풍속관측 연월일관측 장소
1위0314매미60.0 m/s2003/9/12제주
2위0012프라피룬58.3 m/s2000/8/31흑산도
3위0215루사56.7 m/s2002/8/31고산
4위1618차바56.5 m/s2016/10/5고산
5위1913링링54.4 m/s2019/9/7흑산도
6위0711나리52.4 m/s2007/9/17울릉도
7위1215볼라벤51.8 m/s2012/8/28완도
8위9219테드51.0 m/s1992/9/25울릉도
9위2009마이삭49.2 m/s2020/9/3고산
10위8613베라49.0 m/s1986/8/28울진



'''대한민국 태풍 내습시 관측된 최대 풍속 (1904년~)'''
순위태풍 번호태풍 이름최대 풍속관측 연월일관측 장소
1위0314매미51.1 m/s2003/9/12고산
2위1618차바49.0 m/s2016/10/5고산
3위0012프라피룬47.4 m/s2000/8/31흑산도
4위2009마이삭45.0 m/s2020/9/3고산
4위541245.0 m/s1954/9/14울릉도
6위0215루사43.7 m/s2002/8/31고산
7위0711나리43.0 m/s2007/9/16고산
8위1904년 태풍-42.4 m/s1904/8/18목포
9위1905년 태풍-42.3 m/s1905/9/2목포
10위1913링링42.2 m/s2019/9/7흑산도


4. 피해

태풍 마이삭은 류큐 열도를 포함하여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 러시아 극동 지역에 영향을 미쳤다. 이 태풍으로 인해 최소 32명이 사망하고 9,200채 이상의 주택이 피해를 입었으며, 총 경제적 손실은 1억달러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었다.[42]

4. 1. 일본

일본 기상청(JMA)은 태풍 마이삭으로 인한 잠재적인 "대규모 재해"에 대비하여 오키나와 주민들에게 대피를 촉구했으며, 최종적으로 560명이 대피했다.[29][27] 또한, 해당 지역에 토네이도가 발생할 가능성을 경고했다.[28] 오키나와현 전체의 학교, 상점 및 공공 기관이 문을 닫았다. 오키나와와 연결되는 최대 266편의 항공편이 취소되어 약 9,200명의 여행객이 영향을 받았다.[29][30][31] 나하 공항은 마이삭에 대비하여 여객 터미널을 폐쇄했다.[31] 오키나와 항공편 취소는 하네다 공항 출발편의 10% 취소로 이어졌다.[32] 가데나 공군 기지는 파괴적인 바람의 시작을 나타내는 열대성 저기압 대비 태세 1단계(TCCOR 1)에 돌입했다. 오키나와에는 일반적으로 100km/h에서 130km/h 사이의 돌풍이 불었다. 난조에서는 최대 순간 풍속 163km/h가 측정되었다.[33] 구메지마 공항에서는 순간 풍속이 195km/h에 달했다.[34] 정전으로 인해 나고, 나하, 나키진에서 1,580명의 전기 사용자가 피해를 입었다.[27] 현 전체의 농업 피해는 2.364억 (223만달러)로 집계되었다.[35]

큐슈의 관리들은 강풍과 산사태를 경고했다. 마이삭은 일본의 류큐 열도를 통과하면서 강력한 바람과 폭우를 동반했으며, 일부 정전을 유발했다.[36] 사가현의 농업 피해는 6.09억 (574만달러)로 계산되었다.[37]

2020년 9월 2일, 파나마 선적의 화물선 걸프 라이브스톡 1호가 필리핀인 선원 39명, 뉴질랜드인 2명, 호주인 2명 등 승무원 43명과 수천 마리의 를 태우고 동중국해에서 실종되었다고 보고되었다. 일본 해상보안청은 구명조끼를 입고 거친 물결에 떠다니는 사람 1명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배가 사라지기 직전 조난 신호가 발신되었다.[38] 이틀 후 시신 1구가 발견되었다.[39] 10월까지 나머지 선원 41명이 사망한 것으로 선언되었다.[42]

4. 2. 대한민국

대한민국에서는 태풍 마이삭에 대비하여 2,200명이 대피소로 대피했다. 이 태풍으로 인해 2명이 사망했으며,[40] 12만 건 이상의 정전이 발생했다. 또한 5100ha 이상의 농경지가 피해를 입었고, 800채의 건물이 파손되었다.[41] 대한민국 행정안전부는 이 중 약 2,000채의 건물이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고 발표했다.[42]

4. 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마이삭은 북한 동부 지역에 많은 비를 뿌렸으며, 특히 원산에서는 약 38.50cm에 달하는 강수량이 기록되었다. 이로 인해 원산 시내의 거리와 건물들이 물에 잠기는 피해가 발생했다.[43] 조선중앙텔레비전은 마이삭 상륙 당시 국가수문기상국 현장 등에서 밤새 생방송으로 태풍 상황을 보도했는데, 이는 불과 일주일 전 태풍 바비 (2020) 때와 마찬가지로 이례적인 모습이었다.[44][45]

4. 4. 중국

마이삭이 온대 저기압으로 약화된 후 그 잔해는 지린성으로 이동하여 해당 지역에 폭우를 내렸다. 이로 인한 피해액은 618만위안(90.3만달러)으로 집계되었다.[46]

4. 5. 러시아

태풍 마이삭은 온대 저기압으로 변질된 후 프리모르스키 지방을 강타하였다. 이로 인해 3명이 사망했으며, 피해액은 2억러시아 루블 (265만달러)에 달했다.[47]

5. 영향 및 평가

태풍 마이삭은 한반도를 포함하여 류큐 열도, 중화인민공화국, 러시아 극동 지역 등 동아시아 여러 지역에 영향을 미쳤다. 이 태풍으로 인해 해당 지역들에서는 상당한 사회경제적 피해가 발생하였다.

5. 1. 사회경제적 영향

이 태풍은 류큐 열도를 포함하여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 러시아 극동 지역에 영향을 미쳐 최소 32명의 사망자와 9,200채 이상의 주택 피해를 발생시켰다. 총 경제적 손실은 1억달러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었다.[42]

참조

[1] 뉴스 Heat wave to return as typhoon passes without severe damage http://www.koreahera[...] Herald Corporation 2020-08-27
[2] 뉴스 태풍 '바비' 가니 '마이삭' 오나…기상청 "예의 주시" https://www.donga.co[...] 2020-08-27
[3] 간행물 Tropical Cyclone Formation Alert (Invest 94W)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2020-08-27
[4] 뉴스 Top weather expert hopes Typhoon Maysak stays away from Taiwan https://www.taiwanne[...] 2020-08-27
[5] 간행물 Warning and Summary 270600 https://www.wis-jma.[...]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020-08-27
[6] 웹사이트 Tropical Cyclone Formation Alert (Invest 94W) https://www.wis-jma.[...]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2020-08-27
[7] RSMC Tropical Cyclone Prognostic Reasoning Reasoning No. 1 for TD Located at 16.8N 131.8E https://www.wis-jma.[...]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020-08-27
[8] RSMC Tropical Cyclone Prognostic Reasoning Reasoning No. 2 for TD Located at 17.4N 131.1E https://www.wis-jma.[...]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020-08-28
[9] 간행물 Prognostic Reasoning for Tropical Storm 10W (Ten) Warning NR 01 https://mtarchive.ge[...]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2020-08-28
[10] 웹사이트 Severe Weather Bulletin #1 for Tropical Depression "JULIAN" http://pubfiles.paga[...] PAGASA 2020-08-28
[11] RSMC Tropical Cyclone Prognostic Reasoning Reasoning No. 3 for TS 2009 Maysak (2009) https://www.wis-jma.[...]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020-08-28
[12] 간행물 Prognostic Reasoning for Tropical Storm 10W (Maysak) Warning NR 03 https://mtarchive.ge[...]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2020-08-28
[13] RSMC Tropical Cyclone Advisory STS 2009 Maysak (2009) Upgraded From TS https://www.wis-jma.[...]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020-08-28
[14] RSMC Tropical Cyclone Prognostic Reasoning Reasoning No. 8 for TY 2009 Maysak (2009) https://www.wis-jma.[...]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020-08-29
[15] RSMC Tropical Cyclone Advisory TY 2009 Maysak (2009) Upgraded From STS https://www.wis-jma.[...]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020-08-29
[16] 간행물 Prognostic Reasoning for Typhoon 10W (Maysak) Warning NR 08 https://mtarchive.ge[...]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2020-08-29
[17] 간행물 Prognostic Reasoning for Typhoon 10W (Maysak) Warning NR 09 https://mtarchive.ge[...]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2020-08-30
[18] 간행물 Prognostic Reasoning for Typhoon 10W (Maysak) Warning NR 12 https://mtarchive.ge[...]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2020-08-30
[19] 간행물 Prognostic Reasoning for Typhoon 10W (Maysak) Warning NR 13 https://mtarchive.ge[...]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2020-08-31
[20] 간행물 Prognostic Reasoning for Typhoon 10W (Maysak) Warning NR 15 https://mtarchive.ge[...]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2020-08-31
[21] 간행물 Prognostic Reasoning for Typhoon 10W (Maysak) Warning NR 16 https://mtarchive.ge[...]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2020-09-01
[22] RSMC Tropical Cyclone Advisory TY 2009 Maysak (2009) https://www.wis-jma.[...]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020-09-01
[23] RSMC Tropical Cyclone Prognostic Reasoning Reasoning No. 18 for TY 2009 Maysak (2009) https://www.wis-jma.[...]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020-09-01
[24] RSMC Tropical Cyclone Prognostic Reasoning Reasoning No. 19 for TY 2009 Maysak (2009) https://www.wis-jma.[...]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020-09-01
[25] 웹사이트 "[기상청 속보] 2020년 9월 3일 2시 30분" https://www.weather.[...]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0-09-02
[26] Youtube Typhoon Maysak hit South Korea - September 2nd, 2020 https://www.youtube.[...]
[27] 뉴스 "台風9号:沖縄で瞬間風速54.5メートル 1人負傷、560人避難 1580戸停電" https://www.okinawat[...] 2020-09-01
[28] 뉴스 竜巻注意情報=気象庁発表 https://www.okinawat[...] 2020-09-01
[29] 뉴스 Typhoon Maysak: Japan warns of 'major disaster' in Okinawa region https://www.aljazeer[...] Al Jazeera Media Network 2020-08-31
[30] 뉴스 台風9号、スーパーなど商業施設も臨時休業へ【8月31日随時更新】 https://news.yahoo.c[...] 2020-08-31
[31] 뉴스 台風で沖縄の交通ストップ きょう空路238便欠航 バス・モノレールは午前運休 https://www.okinawat[...] 2020-08-31
[32] 뉴스 Typhoon Maysak is forecast to strengthen as it moves toward Japan and the Korean Peninsula https://www.cnn.com/[...] Cable News Network 2020-08-31
[33] 뉴스 Typhoon Maysak Hammering Okinawa With Strong Winds and Heavy Rain and Could Bring More Flooding to South Korea https://weather.com/[...] TWC Product and Technology 2020-08-30
[34] 뉴스 Powerful Typhoon Maysak brings 100 mph winds to Okinawa, heads for super typhoon status and landfall in Korea https://www.washingt[...] 2020-08-31
[35] 웹사이트 https://ryukyushimpo[...] Ryukyu Shimpo 2020-09-04
[36] 웹사이트 Rains hit southern Japan island as Koreas ready for typhoon https://www.ctvnews.[...] 2020-09-02
[37] 웹사이트 ja:台風9号10号被害 農林水産関係被害は10億円弱【佐賀県】 https://ryukyushimpo[...] Saga TV 2020-09-24
[38] 웹사이트 Typhoon Maysak: Ship with crew and thousands of cattle missing https://www.bbc.com/[...] 2020-09-03
[39] 뉴스 Japan rescues second survivor from capsized ship https://www.bbc.com/[...] 2020-09-04
[40] 웹사이트 태풍 '마이삭' 한반도 강타…사망자 발생 https://www.voakorea[...] 2023-01-11
[41] 웹사이트 Typhoon Maysak finishes, as Haishen gathers force https://koreajoongan[...] 2020-09-03
[42] 웹사이트 Global Catastrophe Recap September 2020 http://thoughtleader[...] Aon 2020-10-08
[43] 웹사이트 Bahrain News Agency https://www.bna.bh/e[...]
[44] 웹사이트 Rescuers search for missing ship carrying 42 crew off Japanese coast https://www.cbc.ca/n[...] 2020-09-03
[45] 웹사이트 "North Korea's east coast hit with damaging typhoon and floods, state TV shows | NK News" https://www.nknews.o[...] 2020-09-03
[46] 웹사이트 zh:台风“美莎克”致16个县、市、区受灾!多图+视频直击现场! https://card.weibo.c[...] 长春全接触 2020-09-04
[47] 뉴스 ru:Ущерб Приморью от тайфуна "Майсак" предварительно оценивается в 200 млн рублей - губернатор https://www.interfax[...] Interfax 2020-09-04
[48] 문서 위키백과에서는 북서태평양 태풍 명명권을 가진 [[일본 기상청]]의 해석을 따른다.
[49] 문서 2020년 12월 14일에 발표된 [[일본 기상청]]의 2020년 제9호 태풍 마이삭(MAYSAK)의 사후해석에서 9월 3일 2시에서 3시 사이에 중심기압 955hPa, 10분 평균 풍속 39m/s의 세력으로 [[경상남도]] [[김해시]]에 상륙한 것으로 확정되었고 상륙시 세력이 다소 하향되었다.
[50] Digital Typhoon MAYSAK
[51] 문서 위키백과에서는 북서태평양 태풍 명명권을 가진 [[일본 기상청]]의 해석을 따른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